Loading...
Skip to Content

Our Services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전환 Consulting Service

Image description

MSA(Microservices Architecture) 컨설팅

uEngine에서는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앱 구현의 전문 배움터 MSA School을 운영하며 MSA분야 최고의 전문 컨텐츠 및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BizDevOps 풀 라이프사이클 지원:
 비즈니스 모델링, 구현, 배포를 아우러는 End-to-End 전 과정 학습
DDD, EDA기반 핵심 프레임워크 활용:
 Event driven Architecture 기반 최신 마이크로서비스 Framework (Axon, Eventuate, Kafka) 및 아키텍처 적용
설치가 필요없는 학습교구 지원: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없는 온라인 이벤트스토밍 도구 및 클라우드 IDE 활용


컨설팅 영역

Image Description
영역 적용 단계 컨설팅 내용
마이크로서비스 방법론 MSA 설계 이 서비스는 DDD스타터 모델링 프로세스(Domain-Driven Design starter modeling process) 를 기반으로 아키텍처 설계, 도메인 주도 설계를 통한 서비스 분할, 데이터 관리 및 동기화 전략, 데이터 프로젝션 기법, 이벤트 드리븐 통신, 모니터링 및 로깅 시스템, 보안 및 인증 관리, 운영 및 배포 전략, SRE를 통한 DevOps 효율적 운영 등의 전반적인 내용을 컨텐츠로 컨설팅이 진행됩니다.
이벤트스토밍 세션 리딩 MSA 설계 이 서비스는 표준화된 마이크로서비스 설계 기법인 이벤트스토밍은 자칫 잘못 적용함으로 인해, 분석 결과를 실제 시스템 구현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거나, 잘못된 이벤트스토밍 결과는 비효율적이고 복잡한 마이크로서비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본 서비스는 이벤트스토밍의 핵심 개념을 올바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의 실현 가능성을 리딩해 주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합니다.
CNA 프로토타이핑 CNA 구현 이 서비스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초기 설계를 돕고, 도메인 주제에 맞춘 프로토타입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컨설팅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도메인 주도 설계(DDD)를 활용해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명확히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설계합니다. 이후, 도메인 요구사항과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프로토타입 코드를 자동 생성하여, 빠르게 실험하고 검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코드 생성 템플릿 개발 CNA 구현 이 서비스는 회사의 도메인 모델과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철저히 분석한 후, 그에 최적화된 코드 템플릿을 설계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 팀은 반복적인 코드 작성 작업을 자동화하고, 코드 품질의 일관성을 유지하며,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특히 특정 비즈니스 요구를 반영한 효율적이고 표준화된 개발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는 회사에 큰 도움이 됩니다.
생산성 혁신을 위한 AI 연계 CNA 구현 신기술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코드 자동 생성, 레거시 시스템 전환을 위한 화면 설계, 로그 기반 애플리케이션 모더나이제이션 등 생산성 혁신을 위한 AI 활용 기법을 제공합니다. 또한, LLM(대형 언어 모델) 설치에서부터 AI 인프라의 최적 비용 산정 및 하드웨어 스펙 결정까지,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반적인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GitOps 배포 아키텍처 설계 배포/운영 이 서비스는 조직이 GitOps 방식을 도입해 효율적이고 일관된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특히, GitOps 원칙에 따라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배포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Git 리포지토리 중심의 자동화된 배포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과정을 가이드합니다. 이를 통해 실시간 코드 변경과 배포를 원활하게 관리하고, 배포 프로세스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높이며, 신속한 롤백과 관리가 가능하도록 돕습니다.
커스텀 교육 및 컨설팅 전영역 고객이 속한 특정 조직, 기업, 또는 사이트에 맞춤화된 교육과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고객의 구체적인 요구 사항, 운영 환경 및 목표에 맞게 교육과 컨설팅 내용이 구성되어 진행되므로 이론적 내용뿐만 아니라 실습과 사례 중심으로 진행되어, 실제 업무에 즉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반 도제식 교육 전영역 BizDevOps 전반에 걸쳐 지정된 교육장에서 전문 강사가 진행하는 수업으로 강사의 경험과 교육생들의 실시간 피드백이 융합된 실무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져 실전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플립 러닝 전영역 사전 제공된 영상과 자료를 통해 미리 집에서 학습하고, 대면 교육장에서는 전문 실습 강사 주도로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한 실습 위주의 심화 학습이 제공됩니다. 이는 교육생 개개인의 학습 속도에 맞춰 학습을 진행할 수 있어, 이해도가 낮은 부분에 대해 추가적인 학습이 가능하며 교육비에 대한 경제적 부담도 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MSA 설계 - 마이크로서비스 방법론
이 서비스는 DDD스타터 모델링 프로세스(Domain-Driven Design starter modeling process) 를 기반으로 아키텍처 설계, 도메인 주도 설계를 통한 서비스 분할, 데이터 관리 및 동기화 전략, 데이터 프로젝션 기법, 이벤트 드리븐 통신, 모니터링 및 로깅 시스템, 보안 및 인증 관리, 운영 및 배포 전략, SRE를 통한 DevOps 효율적 운영 등의 전반적인 내용을 컨텐츠로 컨설팅이 진행됩니다.
MSA 설계 - 이벤트스토밍 세션 리딩
이 서비스는 표준화된 마이크로서비스 설계 기법인 이벤트스토밍은 자칫 잘못 적용함으로 인해, 분석 결과를 실제 시스템 구현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거나, 잘못된 이벤트스토밍 결과는 비효율적이고 복잡한 마이크로서비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본 서비스는 이벤트스토밍의 핵심 개념을 올바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의 실현 가능성을 리딩해 주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합니다.
CNA 구현 - CNA 프로토타이핑
이 서비스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초기 설계를 돕고, 도메인 주제에 맞춘 프로토타입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컨설팅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도메인 주도 설계(DDD)를 활용해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명확히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설계합니다. 이후, 도메인 요구사항과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프로토타입 코드를 자동 생성하여, 빠르게 실험하고 검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CNA 구현 - 코드 생성 템플릿 개발
이 서비스는 회사의 도메인 모델과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철저히 분석한 후, 그에 최적화된 코드 템플릿을 설계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 팀은 반복적인 코드 작성 작업을 자동화하고, 코드 품질의 일관성을 유지하며,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특히 특정 비즈니스 요구를 반영한 효율적이고 표준화된 개발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는 회사에 큰 도움이 됩니다.
CNA 구현 - 생산성 혁신을 위한 AI 연계
신기술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코드 자동 생성, 레거시 시스템 전환을 위한 화면 설계, 로그 기반 애플리케이션 모더나이제이션 등 생산성 혁신을 위한 AI 활용 기법을 제공합니다. 또한, LLM(대형 언어 모델) 설치에서부터 AI 인프라의 최적 비용 산정 및 하드웨어 스펙 결정까지,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반적인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배포/운영 - GitOps 배포 아키텍처 설계
이 서비스는 조직이 GitOps 방식을 도입해 효율적이고 일관된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특히, GitOps 원칙에 따라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배포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Git 리포지토리 중심의 자동화된 배포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과정을 가이드합니다. 이를 통해 실시간 코드 변경과 배포를 원활하게 관리하고, 배포 프로세스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높이며, 신속한 롤백과 관리가 가능하도록 돕습니다.
전영역 - 커스텀 교육 및 컨설팅
고객이 속한 특정 조직, 기업, 또는 사이트에 맞춤화된 교육과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고객의 구체적인 요구 사항, 운영 환경 및 목표에 맞게 교육과 컨설팅 내용이 구성되어 진행되므로 이론적 내용뿐만 아니라 실습과 사례 중심으로 진행되어, 실제 업무에 즉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전영역 - 일반 도제식 교육
BizDevOps 전반에 걸쳐 지정된 교육장에서 전문 강사가 진행하는 수업으로 강사의 경험과 교육생들의 실시간 피드백이 융합된 실무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져 실전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전영역 - 플립 러닝
사전 제공된 영상과 자료를 통해 미리 집에서 학습하고, 대면 교육장에서는 전문 실습 강사 주도로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한 실습 위주의 심화 학습이 제공됩니다. 이는 교육생 개개인의 학습 속도에 맞춰 학습을 진행할 수 있어, 이해도가 낮은 부분에 대해 추가적인 학습이 가능하며 교육비에 대한 경제적 부담도 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MSA School 실적 및 주요 수강 기업

*2024년 기준

총 교육횟수

325회

총 교육수강생

9,655명

총 교육시간

17,864시간

평균 후기

4.9점


MSA School 은

MSA분야 최고의 전문 컨텐츠로 마이크로서비스 시장을 선도할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문가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MSA School은 분석, 설계에서 구현, 배포까지 마이크로서비스 전 생명주기를 지원하는 학습 교구와 전문 커리큘럼으로 End-to-End 학습 및 실습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Cloud native한 최신 컨텐츠는 물론, 이벤트 드리븐 마이크로서비스 구현에 필수인 전용 프레임워크(Eventuate, Axon 등)와 최신 MSA 기술이 반영된 실습코드로 MSA School은 항상 진화합니다.

모든 CNA 교과정은 로컬에 SW 설치없이 웹 브라우저에서 수강 가능합니다. 브라우저 상에서 Domain driven Design(도메인 주도 설계)기반 분석/설계 도구인 이벤트스토밍(Eventstorming)으로 설계된 도메인 모델은 다양한 언어(Axon, Eventuate, Go, Nodejs, Python, Spring-boot, Custom Language)로 CNA Code가 생성되고, 클라우드 IDE 도구인 GitPod와 자동 연계됩니다.

MSA School이 전하는 축적된 Cloud 전문 지식, 마이크로서비스 현장 경험 및 질높은 교육 후기로 인해, 매년 마이크로서비스를 도입하려는 많은 선도 기업들이 MSA School을 통해 CNA를 학습하고 재방문의 발길이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란?

전통적인 온프레미스 인프라보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가 제공하는 확장 가능한 자원에 의존하여 작동합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습니다.
  1.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을 작은 독립적인 서비스로 분할하여 개발하고 배포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유연하게 확장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컨테이너 기술: 컨테이너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경량화된 환경을 제공합니다. Docker와 Kubernetes 같은 도구들은 컨테이너를 관리하고 배포하는 데 사용됩니다.
  3. 자동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는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배포, 확장, 관리 등을 자동화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시스템 운영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필요 없이 개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4. 탄력성과 확장성: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필요에 따라 리소스를 동적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트래픽 증가나 감소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5. DevOps 문화: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개발팀과 운영팀 간의 협력과 통합을 강조하는 DevOps 문화를 촉진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과 운영 사이의 협력을 증진시켜 애플리케이션의 빠른 배포와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6.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SOA):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구성된 서비스로 분해하여 개발하고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유연하게 조정하고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 Architecture, MSA)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구축하는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기본적으로,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작은 독립적인 서비스들로 분할하여 구축하는 아키텍처 패턴입니다. 각각의 서비스는 특정한 비즈니스 기능을 담당하며, 서로 독립적으로 배포, 확장, 유지보수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독립성: 각각의 마이크로서비스는 독립적으로 개발, 배포, 운영됩니다. 이는 하나의 서비스의 장애가 다른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2.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각 서비스는 특정한 비즈니스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는 서비스가 간결하고 유지보수가 쉽도록 합니다.
  3. 분산 시스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분산 시스템입니다. 서비스 간의 통신은 주로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REST API, 메시징 시스템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기술 다양성: 각각의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선택된 기술 스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발 팀이 각 서비스에 가장 적합한 기술을 선택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5. 스케일 아웃: 각각의 서비스는 개별적으로 스케일 아웃될 수 있습니다. 이는 서비스의 부하가 증가할 때 해당 서비스만 확장하여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유지보수하는 데 있어서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강력한 방법론입니다.

FAQ

어떤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Q1. MSA 도입을 위한 적합성 검토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다음과 같은 정량적/정성적 기준으로 평가를 진행합니다.
  • 비즈니스 확장성 (업무변경량, 확장가능성)
  • 장애대응 (트랜잭션 발생량, 데이터 용량, 비즈니스 영향)
  • 배포용이성 (소스 규모, 테이블 개수)
  • 조직 독립성 (요구사항 요청 조직, 운영 조직 분리) 온라인 도구인 CloudIQ(cloudiq.msaez.io)를 활용하여 객관적인 평가도 가능합니다.
Q2. MSA 전환 컨설팅은 어떤 단계로 진행되나요?
크게 다음 단계로 진행됩니다.
  1. 현행 시스템 분석 및 도입 적합성 평가
  2. 도메인 주도 설계(DDD) 기반 서비스 분해 전략 수립
  3. 이벤트 스토밍을 통한 도메인 모델링
  4.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설계
  5. 단계별 전환 로드맵 수립
  6. 파일럿 프로젝트 진행
Q3. MSA 성숙도 모델은 어떻게 평가하나요?
다음 4단계로 구분하여 평가합니다.
  • Early(Lv1): 기초적인 MSA 도입 단계
  • Inception(Lv2): MSA 기본 구조 확립 단계
  • Expanding(Lv3): MSA 확장 단계
  • Mature(Lv4): MSA 완성 단계 각 단계별로 기능분해, 데이터, SW아키텍처, 인프라스트럭처, 배포, 팀 구조 등을 평가합니다.
Q4. 레거시 시스템의 MSA 전환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Strangler Pattern을 활용한 점진적 전환을 권장합니다.
  1. 전환 대상 서비스 식별
  2. API Gateway를 통한 라우팅 구성
  3. 신규 마이크로서비스 개발 및 테스트
  4. 점진적인 기능 이전
  5. 레거시 시스템 축소 및 제거
Q5. MSA 도입 시 조직 구조는 어떻게 변경해야 하나요?
다음과 같은 조직 구조 변경을 제안합니다.
  • 서비스별 독립적인 제품 팀 구성
  • 개발, 운영을 포괄하는 Cross-Functional 팀 구성
  • DevOps 문화 정착
  • 팀 간 자율성과 책임 부여
Q6. MSA 구현을 위한 기술 스택은 어떻게 선정하나요?
다음 요소들을 고려하여 선정을 지원합니다.
  • 서비스 디스커버리: Spring Cloud, Kubernetes
  • 이벤트 스트리밍: Kafka, RabbitMQ
  • 데이터베이스: 폴리글랏 퍼시스턴스 전략
  • CI/CD: Jenkins, ArgoCD
  • 모니터링: Prometheus, Grafana
Q7. MSA 도입의 ROI는 어떻게 측정하나요?
다음과 같은 지표로 측정합니다.
  • 배포 주기 단축
  • 시스템 안정성 향상
  • 개발 생산성 향상
  • 비즈니스 대응 속도 개선
  • 운영 비용 절감
Q8. 컨설팅 기간은 얼마나 소요되나요?
프로젝트 규모와 범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 적합성 검토: 2-3주
  • 아키텍처 설계: 1-2개월
  • 파일럿 구현: 3개월 이상
  • 전체 전환: 협의 후 진행
Q9. MSA 도입 후 운영 안정화를 위한 지원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다음과 같은 지원을 제공합니다.
  • 운영 모니터링 체계 구축
  • DevOps 프로세스 정립
  • SRE(Site Reliability Engineering) 체계 수립
  • 장애 대응 프로세스 수립
  • 운영 조직 교육 및 기술 이전
Q10. MSA 컨설팅에서 제공하는 산출물은 무엇인가요?
다음과 같은 산출물을 제공합니다.
  • MSA 적합성 평가 보고서
  • 도메인 모델 및 서비스 분해 설계서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설계서
  • 기술 참조 모델
  • 구현 가이드라인
  • 전환 로드맵
  • 파일럿 프로젝트 결과물